2월 21일 월요일에 2022년 청년희망적금이 본격 시작됩니다.
1. 개요
청년희망적금은 매월 50만 원의 한도 내에서 자유롭게 납입할 수 있는 적금상품입니다.
만기 2년까지 납입하게 되면 은행별 시중이자에 정부 및 지자체에서 지원하는 저축장려금까지 추가로 지원받을 수 있죠.
저축장려금은 1년차 전체 납입금액의 2%를, 2년 차에는 4%만큼 지원해주는데요.
매월 50만원씩 꼬박꼬박 넣었다 하면 1년 차에는 12만 원의 저축장려금을 받을 수 있으며 2년 차에는 24만 원을 받게 되는 것이죠.
뿐만 아니라 이자소득에 대한 과세를 하지 않아 이자소득세와 농어촌특별세를 부과하지 않습니다.
요즘같이 저금리 시대에 계산을 하게되면 약 10%에 달하는 고금리 상품이라 할 수 있는 것이죠.
2. 가입 대상자
가입 대상자는 아무나 하는 것이 아니라 연령과 소득기준에 충족해야 합니다.
우선 가입 연령은 청년희망적금 '가입일 기준' 만 19세 이상 만 34세 이하의 청년이 가능합니다.
그리고 가입 소득은 직전 과세기간 (2021년 1월~12월)의 총 급여 3,600만 원 또는 종합소득금액 2,600만 원 이하인 분들만 가입이 가능하죠.
그렇다면 소득이 없거나 무직, 백수인 경우에는 가입이 가능할까요?
안타깝게도 청년희망적금은 국세청을 통해서 소득금액이 증명되어야 하는데요.
설사 소득이 있더라도 국세청에 신고되지 않았으면 가입이 불가능합니다.
이처럼 청년희망적금에 가입하고 싶어도 그렇지 못한 분들이 많다보니 정부에서는 '미리 보기' 서비스를 통해 가입 가능한지 여부를 확인해주는 서비스를 며칠 전에 오픈했습니다.
3. 청년희망적금 미리보기 서비스
청년희망적금 미리보기 서비스는 가입이 가능한지 정식 출시되기 전에 미리 확인할 수 있는 서비스로 2월 9일부터 18일 금요일까지 은행 영업일 기준, 오전 10시부터 오후 10시까지 운영되고 있습니다.
국민, 신한, 하나, 우리, 농협, 기업, 부산, 대구, 광주, 전북, 제주은행의 모바일 App에서 확인이 가능한데요.
참여일로부터 최대 3일 이내에 가입이 가능한지 여부를 문자로 알려주고 있습니다.
향후 2월 28일에는 경남은행이, 6월경에는 SC제일은행이 추가로 출시될 전망이죠.
이 서비스는 간단한 고객정보를 입력하는 것만으로도, 가입하고자 하는 은행에 계좌가 없을 신분증을 필요로 하는 것만으로도 사전 자격조회를 할 수 있어 편리한데요.
특히 저축장려금은 정부 예산에서 가입신청 순대로 지급하기 때문에 가급적 빨리 가입하는 것이 좋습니다.
참고로 2022년 청년희망적금의 가입 기간은 올해 연말 12월 31일까지 이니 참고하세요.
4. 정식 가입방법
가입 희망자는 앞서 언급한 은행중에서 1개 계좌만 가입이 가능합니다.
미리 보기 서비스에 참여하여 가입이 된다는 알림을 받은 분들은 상품이 정식 출시되면 별도의 절차 없이 즉시 가입이 가능한데요.
미리 보기 서비스를 이용하지 않았어도 별도의 절차만 거치면 바로 가입이 됩니다.
그리고 대면 및 모바일 앱을 통해서도 비대면 가입이 가능한 것도 큰 장점이라 할 수 있습니다.
이마트24 편의점에서 지류(종이) 신세계상품권 사용하는 법과 현금화하는 방법
이마트24 편의점에서 지류(종이) 신세계상품권 사용하는 법과 현금화하는 방법
민족 대명절 추석이 얼마 남지 않았습니다. 벌써부터 오고가는 선물들로 인해 택배가 성황이라는 뉴스 보도가 있었는데요. 최근에는 추석 선물로 현물보다 상품권이나 기프트카드를 주고 받는
guhama.tistory.com
군 휴학 시 필요한 병무청 입영통지서, 파일로 다운받아 종이로 인쇄하는 법
군 휴학 시 필요한 병무청 입영통지서, 파일로 다운받아 종이로 인쇄하는 법
요즘같은 때에 미필인 분들은 군대가기에 딱 좋지 않을까 싶습니다. 아무래도 사회가 어수선하다보니 반드시 가야할 것이라면 좀 더 일찍 가는 것도 한가지 방법이라 할 수 있는데요. 만약 군대
guhama.tistory.com
마켓컬리 새벽배송 & 택배배송 규정 종합안내문
우리나라에 새벽배송 신드롬을 불러온 마켓컬리는 새벽배송만 하는 것이 아닌 택배배송도 같이 운영하고 있습니다. 마켓컬리의 이러한 배송 시스템은 저마다의 규정과 시간을 갖고 있는데요.
guhama.tistory.com
댓글